본문 바로가기

Snowboard/Freestyle

스노우보드 구조와 이해

입문 당시에 정리해 놨던 좀 오래된 자료들입니다..^^


스노보드의
스타일
스타일은 크게 프리 스타일(Free style) 알파인 스타일(Alpine style) 나눈다.
프리 스타일
에어, 트릭, 하프파이프에 적합하며, 자신의 자유로운 라이딩을 구사하는 스타일.
Switch 스타일( 진행방향의 반대로 스탠스를 바꿈)로도 라이딩 있다. 소프트 부츠를 사용하며,
바인딩은 스트랩(Strap) 형식과 스탭인(Step-in) 형식의 두가지이다.
알파인 스타일
주로 카빙턴(Carving turn)으로 활주하고, 고속의 라이딩을 즐기는 스타일이며, 턴기능을 중시하여 설계되었다.
부츠는 스키와 비슷한 하드부츠를 사용한다.  
스노보드의 종류
스노보드를 아주 세밀하게 구분하면 alpine board, free-style board, racing board, half-pipe board,
free-riding board 등으로 나뉘지만 일반적으로는 크게 3종류로 구분한다.
알파인 스노보드는 주로 레이싱용으로 설계된 보드이며 프리스타일(free style)보드보다는
빠른 속도를 있도록 보드가 딱딱하고 셔블이 짧고 Tail 올라가 있지않으며, 유효엣지가 길다.
데크 ( Deck )
데크의 종류는 크게 3가지가 있다. 알파인, 프리스타일, 프리라이딩 데크이며, 알파인용 데크는 날렵한 형태로
보드 (waist) 프리스타일보다 좁다. 눈과의 마찰저항이 적어 고속턴이 용이하다.
바인딩 ( Binding )
데크와 부츠를 연결시켜주는 것이 바인딩이다. 하드바인딩은 알파인 바인딩은 hard binding이며,
스키바인딩과 유사하다. 프리스타일 바인딩은 strap binding/step-in binding으로 나뉜다.
스텝인은 바인딩의 착탈을 간편하게 것이다.
스텝인 바인딩은 보드와 부츠를 쉽게 연결할 있는 장점이 있지만 부츠안의 내장장치로 인해
부츠 바닥이 단단해지고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다.
부츠 ( Boots )
알파인용은 스키부츠와 비슷한 하드부츠이고, 프리스타일은 소프트 부츠이다.
최근의 소프트 부츠는 inner boots 있는 것이 많다.
보드복 ( Clothing )
보드복은 방수성이 뛰어난 코팅 소재의 것이나 발한, 환기성을 고려한 발수가공 소재의 것이 많다.
스노보드는 스키에 비해 눈과의 접촉이 훨씬 많기때문에 무엇보다 방수성능이 좋아야 한다.
방수, 보온, 통기성을 위해 지퍼가 달린 옷이 좋다.
장갑( Glove )
스노보드용 장갑에는 프리스타일용, 레이싱용, 하프파이프용이 있으며,
스키와는 다르게 잡거나 쥐기 쉬움보다도 보온성과 내구성을 중시한다.
설면과 접촉이 많고, 바인딩의 착탈횟수도 많기때문에 방수성이 뛰어나고 튼튼해야한다.
헬멧( Helmet )
하프나 에어를 좋아하는 라이더의 필수품.
귀마개가 있는것이 취위를 막기에 좋으며 너무 무겁지 않고 튼튼한 것이 좋다.
고글( Goggle )
고글은 매우 중요한 필수품이다.
슬로프의 자외선은 아주 강하므로 시력보호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장비이며,
눈오는 날이나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도 필수 장비이다.
간혹 멋을 위해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라이더들이 있는데, 스노보드의 경우에는 별로 추천할 만한 것이 아니다.
스노보드용 고글을 착용하도록하자
비니( Beanie )
머리보호와 보온을 위해서 필요. 귀를 덮어서 뒤쪽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유의해야한다
Deck
먼저 데크를 선택하기전에 어떤 스타일[alpine, free style, free riding] 자신에게 맞을지를 우선 결정한다.
일단 스타일이 결정되면 다음은 신체조건을 체크한다.
데크를 선택할 때는 사람의 , 몸무게, 기술정도, 취향에 따라 틀려지기 때문이다.
길이 : 흔히 데크의 길이를 키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잘못된 상식이다.
우선 키보다는 체중이 우선하며, 키와 체중이외에 실력과 취향에 따라서도 데크의 길이가 많이 달라질 있다.
체중이 54~75kg 경우 데크길이는 145~155cm 정도면 무난하다.
몸무게가 이하나 이상일 경우는 +/- 10cm 정도해주면 되고,
표준키보다 크다면 2~3cm 것을 선택한다.
일반적으로는 목에서 인중사이의 길이로 선택한다.
스타일별로는 알파인은 고속시의 안정을 위해 것을 선택하고,
프리스타일은 약간 짧은 것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나 개인의 취향, 실력에 따라 달라질 있다.
것을 선택할 때는 눈높이를 기준으로하고, 짧은 것은 목부분을 기준선으로 하면된다.
: 보드의 폭도 데크선택시 반드시 고려해야한다.
발이 경우에는 부츠의 앞뒤가 데크밖으로 나와서 눈에 닿아 라이딩을 방해할 있다.
반대로 폭이 넓은 경우에는 에징을 유지하거나 턴을 하기가 다소 힘든 면이 있다.
일반적으로 부츠가 앞뒤로 1.5cm 이하로 나오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사이드컷 래디어스(side cut radius): 보드를 평평한 곳에 놓고 shoulder hip 사이의 곡선을
연장해서 원을 그렸을 때의 반경이며, 턴을 전체적인 턴의 길이를 결정한다.
수치가 작을수록 작은 턴이 만들어지고, 클수록 턴이 만들의 지므로 데크결정시 반드시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탄성(Flex) 뒤틀림(Torsion) :
특성은 데크의 반발력을 나타낸다.
보드는 라이딩시 체중의 이동과 슬로프의 상태에 의해 휘어지거나 뒤틀린다.
탄성과 뒤틀림에 대한 반발력에 따라 보드의 턴과 안전성이 결정된다.
초보자는 약간 부드러운 것이 턴을 하기쉬우며, 부드러운 보드는 파우더나 air, trick 적당하다.
딱딱한 보드는 컨트롤이 힘들지만 구루밍(grooming) 슬로프에서 에징(edging) 유지하는 데는 효과적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싱보드와 하프파이프용 보드는 매우 딱딱한 편이다.
Binding
보딩시 안전을 위해 가장 중요한 장비가 바로 바인딩이다. 바인딩은 튼튼한 것이 최우선이다.
다음은 편안하고 착탈이 쉬운 것을 고르도록한다. 특히 바인딩의 라쳇(잠금장치)부분은 파손되기 쉬우므로
튼튼한 제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하이백은 라이딩시 체중을 받쳐주는 부분이므로
튼튼하면서도 턴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각도조절이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스노보드는 슬로프에서 빈번하게 착탈하게 되므로 착탈이 쉬운 제품이 좋다.
Boots
스노보드 부츠는 맞는(약간 작다싶은)것을 선택하도록 한다. 방수성과 보온성이 매우 중요하다.
방수나 보온이 되지 않으면 발의 피로가 심해져 보딩이 어려워진다. 또한 inner부츠가 있는 제품이 좋다.
부츠를 선택할 반드시 고려해야할 사항은 부츠는 바인딩과 맞는 것을 골라야한다.
바인딩과 부츠는 같이 착용해 보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부츠와 바인딩은 같은 브랜드의 제품으로
선택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길이(Length)
nose 에서 tail 까지의 길이.
유효엣지(Effective Edge)
보드가 눈과 직접 맞닿는 엣지부분.
실제 보드길이보다 유효엣지의 길이가 보드의 성능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
캠버(Camber)
보드를 바닥에 놓았을 , 바닥과 보드사이에 생기는 간격
Nose
보드의 앞부분. 라이딩할 보드가 눈에 박히지 않도록 앞부분이 위로 휘어져있는데, 이것을 shovel이라 한다.
Shoulder
보드의 앞부분에서 폭이 가장 넓은 부분. 턴을 시작할 쇼울더 엣지가 가장 먼저 눈에 닿는다.
Waist
보드 중앙의 폭이 가장 좁은 부분.
일반적으로 알파인 보드가 좁고, 프리스타일 보드가 넓다.
Hip
보드의 뒷부분에서 폭이 가장 넓은 부분. 턴을 , 마지막으로 눈이 닿는 부분.
Tail
보드의 뒤쪽 끝부분.
뒷부분에서 위로 휘어진 것을 테일 , 또는 (kick)이라고 한다.
알파인 보드는 킥이 없으며, 프리스타일 보드는 휘어진 각도가 크다.
Insert
보드데크에 바인딩 장착을 위해 뚫은 나사구멍
사이드컷 래디어스(side cut radius)
보드를 바닥에 놓고 side cut(nose tail 사이의 곡선) 연장해서 원을 그렸을 때의 원의 반경.
사이드 컷이 전체적인 턴의 길이를 결정한다.
사이드 래디어스가 작으면 작고 예리한 턴을 만들 있다.  
사이드 컷은 하프파이프나 그루밍(grooming, 눈을 평평하게 다지는 ) 슬로프나 딱딱한 슬로프에서
상당히 중요한 요소이다.
데크의 구조
보드의 구조는 샌드위치(Sandwich)구조, (Cap)구조가 일반적이며
(RIM: Reaction Injection Molding)구조, 인젝션(Polyurethane Injection Construction)구조가 있다.
   
샌드위치 구조  
구조
샌드위치 구조 - 여러장의 재료를 겹쳐서 만든 데크.
스노보드 데크 제작방법중에 가장 어렵고, 비용이 많이든다.
코어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있으며, 고급 보드는 나무 (wood core) 사용한다.
대체로 무게가 가볍고 견고하며 탄성이 좋다.
구조 - 스노보드 데크의 top sheet(표면) 옆면(sied wall)까지 덮어놓은 보드.
캡구조의 보드는 토션(Torsion, 뒤틀림) 강성을 증가시키고, 사이드 (side wall) 없기 때문에
외관이 깨끗하고 심플해 보인다.
RIM 구조 - 데크 기본틀 중심부에 wood core 넣고 합성수지(주로 폴리우레탄) 주입한 .
만들기가 쉽지만 데크가 무거운 편이다.
Injection 구조 - 저가 브랜드의 주종을 이루는 구조.
데크의 기본틀에 폴리우레탄을 주입한 것으로 wood core 없으며, 가벼운 편이나 내구성이 떨어지고
힘을 많이 받으면 캠버가 없어져 버리거나 탄성이 떨어진다.
데크의 분류
Directional: nose tail 보다 보드. '97-'98시즌부터 프리스타일의 영역이 더욱 확대되면서
보드와 테일보다 노즈의 보드를 선호한다.
Twin tip: nose tail 모양과 길이, 탄력이 거의같은 보드, '95-'96시즌에 주목을 끌어
스케이트 보드와 같은 트릭이 유행하였다.
레귤러(regular) & 구피(goofy)
진행방향에 대해 왼발을 앞에 두는 것이 레귤러, 오른발이 앞쪽이면 구피이다.
자신이 레귤러인지 혹은 구피인지 결정하는 방법은 매끄러운 표면 위에서 미끄럼을 ,
왼발이 먼저 나간다면 regular.
공을 , 축이 되는 발이 라이딩에서는 앞쪽이고 공을 차는 발이 뒤쪽이 된다.
오른손 잡이라 하더라도 구피인 경우가 많다.
스탠스의 : Stance width
발과 발사이, 바인딩 중심간의 간격을 말한다. 보통 어깨넓이 보다 약간 넓게 잡는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타일이 알파인보다는 간격이 넓다. 자신의 체격과 기호에 맞는 것이 중요.
Position
포지션이란 데크위에서의 바인딩의 위치이다. 보드위에 올라섰을 가슴앞쪽이 front side(toe side),
뒤쪽이 back side(heel side) 되는데, 일반적으로 바인딩의 위치는 약간 back side 쪽으로 치우치며
노즈쪽에서 앞바인딩까지의 길이가 테일쪽에서 뒷바인딩까지의 길이보다 조금 길다.
포지션 또한 자신에게 맞게 세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바인딩각도: Angle
바인딩의 각도(스탠스의 각도)에는 정답이 없다.
개인에 따라 차이가 매우 크기때문에 어떤 것이 좋다고 말하기 어렵다.
캐나다 스노보드 강사협회 매뉴얼의 표준각은 앞발 15, 뒷발 0도이다.
알파인이 프리스타일보다 각도가 크다. 대체로 알파인의 경우는 앞발이 45~55, 뒷발이 35~45 정도이며,
프리스타일은 앞발이 15~30 뒷발은 0~25 정도이다.
덕풋(duck foot) 스타일이라고 해서 뒷바인딩의 각도가 tail쪽을 향하여 -각도를 이루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