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통뼈?..보호대 없이 탄다?..
벨크로 부착식 보호대
난 통뼈?..보호대 없이 탄다..
보호대라..이걸 어떻게 풀어가야 할까요..음..
자..여러분들은 직접 운전을 하거나 단순한 동승자일 경우라도 일단 좌석에
앉게 되면 안전벨트에 손이 가게 됩니다..
이유가 뭘까요?..무서워서?..
그건 아니죠..
만일의 사고에 대비하여 스스로의 신체를 보호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지요..
물론 안전벨트가 모든 사고의 위험에서 보호해주지 않는다는 것도
잘 아실 테구요..
스노우 보딩을 할 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기분 좋게 친구나 연인과(아~~♨올라..) 스노우 보드를 즐기러 큰 맘먹고 왔는데
누군가 다치게 된다면 다친 사람이야 말할 것도 없고 일행 또한 여러 가지로
불편함을 겪게 됩니다.
보호대 착용 하는게 귀찮다구요?..
나중에 깁스 하시고 몇 달 병원에 누워계시는 것 보다야 편하지 않을까요?..^^;
“스노우 보드가 이렇게 위험한가?” 라고 생각하실수도 있습니다만..
서울시내에서 교통사고로 다칠 확률에도 한참 못미치는 게 스노우 보딩 중 사고입니다.
그런 통계가 있냐구요?..음..기억은 가물가물하지만..본 기억이..^^;..
자꾸 물으시면..저를 두~우~번 죽이시는 겁니다..^^
승용차도 고급사양으로 갈수록 안전에 대비한 옵션들이 늘어납니다..
교통사고 시 고급승용차의 안전도가 좋은 이유가 차량이 크거나
튼튼해서 라기보다 바로 그 안전 장치들 때문인데 스노우 보딩을 함에 있어서도
보호대는 스노우 보더를 지켜주는 안전장치 중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모든 상해를 다 막아줄 수는 없습니다..
보호대 외에도 헬멧과 고글등이 있고 기타 척추 보호대 같은 것을 착용하는
분들도 간혹 있습니다.
우선 첫번째 사진은 벨크로로 부착하는 방식의 보호대구요..(엉덩이,무릎,손목)
초창기부터 이러한 형태의 보호대가 주류였습니다..
전체가 1.5cm~ 2cm두께의 스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껍게 만들다보니
구부러지는 부분이 좀 불편하고 전체적으로 두께가 두꺼워 보드복을 입었을 때
모양새가 좀 안좋습니다만 워낙에 보강재 투성이라 보호대 기능은 짱입니다..^^ 착용식 보호대
두번째 사진은 입는형태의 보호대로서(엉덩이,무릎) 충격을 받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부드러운 천으로 되어있어 착용감이 좋고 보드복을 입었을 때
착용한 티가 나지 않아 요즘 보더들이 선호하는 디자인입니다. 손목보호대
세번째 사진은 대한민국 최고의 스노우 보더 사이트 중 하나인
헝그리보더- http://www.hungryboarder.com (무늬만 회원입니다..) 에서
자체 제작한 손목 보호대 입니다
보호대 안에는 사진 우측에 있는 프레임이 들어가 있어서 넘어질 때
손목이 꺽이는 것을 잡아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비기너의 경우 넘어지는 일이 많기 때문에 가급적 보호대를 착용해 주시는 것이
바람직 할 것 같습니다. 물론 보호대는 실력과 상관없이 해주시는게 좋죠..
참고로 외국같이 자연설이 많은곳 에서는 보호대를 안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푹신푹신해서 다칠위험이 적어서겠죠..
인공설이 대부분인 우리나라 슬로프에서는 꼭 필요한 안정장비이니
이 점 잊지 마시고 외국에서 보딩 물좀 먹었다고 어깨 힘주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러다 쇄골 나갑니당..^^; 헬멧
헬멧은 보딩 중 넘어졌을 때 머리를 보호해 주는 아주 중요한 장비로서 단순히
넘어지는 상황을 제외하더라도 보더나 스키어와의 충돌시에도 머리를
보호해주기 때문에 꼭 필요한 장비라고 보시면 됩니다..
직장인 스노우 보드 동호회(이하 “직스”라 함)에서도 안전캠페인으로
헬멧 착용을 권장하고 있구요..
헬멧 미착용 회원에게는 강습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습니다..^^; 고글
고글은 자외선으로부터 눈으로 보호하는 역할 이외에도 이동중이나
라이딩 도중에 생길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눈을 보호해 줍니다..
멋스럽게 선그라스를 쓰셔도 좋지만 기왕이면 고글을 쓰자구요..
아...그리고
스키/스노우보드 상해보험도 들어두시는것이 만일의 경우에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2만원미만이면 시즌기간동안의 상해에 대해서 7000만원까지
보상이 가능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가격이나 보상기준은 보험사에 따라 다릅니다..
저역시 상해보험에 가입을 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상해보험을 가입하신분들은 따로 안하셔도 되구요..
가입시 약관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