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owboard/Freestyle

데크~~ 네 속이 궁금하다..

레스뚜드 2006. 12. 11. 04:38

데크의 구조


보드의 구조는 샌드위치(Sandwich)구조,

캡(Cap)구조가 일반적이며

림(RIM: Reaction Injection Molding)구조,

인젝션(Polyurethane Injection Construction)구조가 있습니다..


샌드위치 구조 - 여러장의 재료를 겹쳐서 만든 데크로서 스노우 보드 데크

제작 방법 중에 가장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듭니다.

코어로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 보드는 나무 (wood core)를 사용합니다.

우드를 사용하면 대체로 무게가 가볍고 견고하며 탄성이 좋은 게 특징이죠...



캡 구조 – 스노우 보드 데크의 top sheet(표면)로 옆면(side wall)까지

덮어놓은 보드로서 토션(Torsion, 뒤틀림)의 강성을 증가시킨답니다..

사이드 월(side wall)이 없기 때문에 외관이 깨끗하고 심플해 보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RIM 구조 - 데크 기본틀 중심부에 wood core를 넣고 합성수지

(주로 폴리우레탄 수지)를 주입한 것으로 만들기가 쉽지만 데크가

무거운 편이라서 요즘은 잘 나오지 않습니다..



Injection 구조 - 저가 브랜드의 주종을 이루는 구조입니다. 데크의 기본틀에

폴리우레탄을 주입한 것으로 wood core가 없으며, 가벼운 편이나

내구성이 떨어지고 힘을 많이 받으면 캠버가 없어져 버리거나 탄성이 떨어집니다..

심하면 부러지기도 하구요..



부분별 명칭입니다..

1 Top Sheet : 탑 시트라고 하며 보통 그래픽 부분을 말합니다..

2 Fiber Glass : 화이버 글라스라고 하며 카본섬유나 케블러 섬유를 사용하는데

보드의 틀어짐을 방지해주며 보드의 탄성을 극대화 시킵니다..

세라믹이나 티타늄이 보강재로 쓰이기도 합니다

3 Wood : 얇은 나무를 여러겹 덧대어 만드는 것으로 보드의 텐션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드의 재질과 덧대어진 우드의 두께에 따라 보드의 그레이드가 결정됩니다

4 Rubber Damper : 일종의 충격 완화용 고무로서 엣지와 베이스로 전해지는

잔 진동을 막아줍니다

5 Steel Edge : 엣지

6 P-Tex Base : 베이스는 설면 타입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구입하실 때 확인바랍니다..


참고 : Sidewall이 sandwich 타입입니다


우드코어는 이렇게 생겼다..

접착제로 덧대어진 우드는 얇고 여러겹 이어야 텐션과 강도가 좋다고 합니다

보드를 구매하실 때 베이스에 붙어있는 스펙을 보시면 우드에 대한 정보가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다음에서 언급하겠지만 바디부분은 어느정도의 두께가 있어 우드가공은

어렵지 않으나 노즈와 테일부분으로 갈수록 얇아지기 때문에 양쪽 끝부분은

종이처럼 얇게 가공을 해야한답니다.

이 공정이 어려워서 저가의 보드는 노즈와 테일을 뺀 바디부분만 우드를사용하고

노즈와 테일에는 인젝션을 한다고합니다..

100% 우드코어인지 꼭 확인해보세요..

요즘은 대체로 100% 우드코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데크의 실제 단면도

앞서 말했듯이 데크의 재질에 따라 라이딩이 달라집니다.

샌드위치나 캡의 차이는 크게 나지 않습니다만..

데크의 재질은 향후 라이딩 실력의 향상과 더불어 여러분들을 업글병에

시달리게 만들것입니다..

초급자의 경우 저가의 인젝션 보드로도 연습이 가능하지만 실력이 향상되면

될수록 보드의 그레이드가 올라가게 되고 고급보드로의 유혹이 시작됩니다..

하지만 대체적으로 볼 때 요즘의 중급 보드들은 100% 우드코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고급보드로의 업글은 크게 권하지는 않겠습니다..

보드의 업글 보다는 꾸준한 연습으로 라이딩 실력을 키우는 게 중요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