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nowboard/Freestyle

니들이 보드를 알아?..

스노우보드의 역사

이런건 좀 고리타분하죠?..걍 넘어갑니다..

스노우보드 바로알기

스노우 보드는 데크(넓은 판때기 비스무리한 것..),

부츠, 바인딩(부츠와 데크를 연결해주는 일종의 아답터..)

이 세 가지의 필수장비로 구성되며 이 세가지를 합쳐서 스노우 보드 셋트라고 합니다..


자..우선 데크에 대해 파해쳐봅시다..

보드는 일반적인 라이딩 형태로 프리 스타일,프리 라이드,알파인 세가지로 나눕니다.

크게는 프리 스타일과 알파인으로 나누어지고 그에 따른 데크가 아래와 같이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 데크의 구분

* 프리 스타일

프리 스타일은 에어, 트릭, 하프 파이프에 적합한 자유로운 라이딩을 구사하는

스타일로서 보드 입문 시 기본적으로 선택하는 데크 입니다.

* 프리 라이드

프리 라이드는 에어나 트릭,하프 보다는 슬라럼이나 마운틴 보딩을 위해

프리 스타일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간혹 테일 부분이 잘려져 있어 알파인 보드와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프리 라이드 보드도 있습니다만 요즘 추세는 프리 스타일과 디자인이 비슷합니다.

프리 스타일적인 요소 들도 넣으려는 계산이겠지요..

알파인과는 사이트 컷 각도나 데크의 텐션 등의 차이가 있습니다.

* 알파인

주로 카빙 턴(Carving turn)위주 고속의 라이딩을 즐기는 스타일이며 슬라럼을

위해 설계된 보드입니다

부츠는 스키와 비슷한 하드부츠를 사용하며 주로 레이싱 용으로 사용되며

프리 스타일(free style)보드보다는 좀 더 빠른 속도와 턴이 가능하도록

보드가 딱딱하고 셔블이 짧고 Tail이 올라가 있지않으며,

유효 엣지(런닝 엣지)가 긴 것이 특징입니다..

길이에 따라 SL과 GS용이 있습니다


>> 데크의 구분
* Directional :
Nose가 Tail 보다 긴 보드로서 97-98 시즌부터

프리 스타일의 영역이 더욱 확대되면서 좀 더 긴 보드와 테일 보다 긴 노즈의

보드를 선호하게 되어 현재는 대부분의 양산 모델이 디렉셔널 보드입니다.

* Twin Tip :
Nose와 Tail의 모양과 길이, 탄력이 거의 같은 보드로서,

스케이트 보드 트릭과 같은 기술들이 선보이며 95-96 시즌에 유행하게 됩니다..

>> 분류에 따른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