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란드는 뒷발차기의 주범?..
사이드 슬리핑을 하고나서 펜쥴럼, 일명 낙엽타기를 합니다..
낙엽타기가 가능해지면 트래버싱을 하고 그 뒤에 갈란드를 거쳐 비기너 턴을
하게 되는데 갈란드는 아시다시피 상체 포지션 이동을 한뒤 보드가 폴라인에
섰을 때 뒷발을 슬립시켜 정지하는 동작입니다..
갈란드가 익숙하게 되면 순간적인 롤링이 가능해져서 방향을 바꾸기 쉬워지고
속도 제어를 할수 있게 되서 턴이 들어가는 시점에서 많이 강습을 많이 하는데
문제는 비기너 턴에서 보드가 폴라인에 위치했을때 상체 포지션 이동에 따른
하체 포지션 이동으로 턴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순간적으로 겁을먹고
무의식중에 갈란드처럼 뒷발을 미끄러뜨려 뒷발차기가 됩니다.
남자의 경우 갈란드가 아니더라도 사이드 슬리핑 중에 스스로 터득을 해버리게
되어서 꼭 갈란드가 뒷발차기의 주범은 아닙니다만 제일 영향을 많이 주는
부분이라고 생각해서 적습니다..
그렇다고 갈란드가 필요없는건 아닙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비기너에게는 속도제어와 롤링을 할때 필요합니다..^^
엣지를 들려고 하면 턴이 안된다~~
비기너턴을 보면 상체 포지션이동을 하여 천천히 롱턴을 하게 됩니다..
보통의 롱턴 경우 비기너의 생각과는 다르게 회전방경이 커지게 됩니다..
생각과 다르다는 얘기는 자세가 정확하지 않다는 얘기입니다..
상체 포지션 이동이 정확하지 않거나 그 각도가 적을경우 회전반경은 당연하게
커지게 되는데 대부분 턴이 안되는 이유중 하나가 이것입니다..
본인은 상체 포지션 이동을 했다고는 하나 확인해보면 상체가 틀어진게 아니고
팔만 틀어진경우가 허다합니다..
이렇다보니 아래 뒷발차기와 마찬가지로 폴라인 선상에 오래동안 위치하게 되고
그러다보면 자연스럽게 속도가 붙게되고 통제가 안되서 넘어지게 됩니다.
이 때 비기너들이 많이 실수하는것이 발목을 이용한 엣지들기인데..
비기너에게 있어서 턴은 엣지가 사용되기는 하지만 보더 스스로 엣지를 주는것은 아닙니다..
상체 포지션 이동에 따른 하체 포지션의 이동..그리고 그에 따른 보드의 회전과
원심력에 의해서 보더의 중심선이 회전반경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됨으로서
보드가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되는것입니다.
이때 무리하게 엣지를 주기 위해 발목을 사용한다거나 하면 그 회전에 따른
원심력의 밸런스가 깨져 회전반경 안쪽으로 넘어지게 됩니다.
그럼 뒷발차기를 하면 안되나요?
그건 아닙니다..
갑작스런 방향전환을 해야할땐 슬립을 이용한 뒷발차기가 효과적이죠..
그리고 자연설이 많은곳에서는 엣지를 세우면 바닥에 꽂히기 때문에 슬립을
이용한 라이딩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슬로프는 대체로 아이스반이 많고 뭉쳐있는경우가 많기 때문에
슬립을 이용하다보면 미끄러지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래서 슬리핑을 이용한 턴보다는 엣지를 이용한 턴이 편리하고 안전합니다....
그렇다고 카빙턴이 턴의 전부는 아닙니다..
카빙턴만 제일이라고 하는보더는 자연설 파우더에 한번 모셔놓으면 절대로 카빙 안합니다..^^
그런데 왜!!
뒷발차기하면 비웃는가?..
대부분의 비기너들은 순간적인 롤링보다는 턴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턴을할 때 자연스러운 포지션이동(이 말 정말 많이 합니다..) 으로..
다시 말하면 밸런스드 바디 포지션에서 상체와 하체의 로테이션으로
턴이 되는 안정적인 자세에서 뒷발(리어)을 살짝 슬립을 해두면 상체의
진행방향과 슬리핑의 방향이 같이 맞물려 턴이 예쁘게 되는 반면에..
비기너들의 슬립은 상체의 로테이션과는 관계없이 상체의 진행방향과는
관계없이 뒷발을 심하게 틀기 때문입니다..
이건 엄밀히 말하자면 턴도 아니고 사이드 슬립으로 미끌어지기 입니다..
이렇게 되면 자세도 엉거주춤하게 되고 밸런스도 흐트러져서 막춤추듯이 내려오게 됩니다..
턴을 제대로 익히고 슬리핑을 하게되면 뒷발차기와는 사뭇 다른 슬리핑 턴이 됩니다..^^
그러니 처음부터 뒷발차기는 하지 않도록 노력하시기 바래요..
안되는 분들은 강사님들께 매달려서 꼭 고쳐달라고 하세요..ㅋㅋ
7:3, 6:4, 5:5 는 도대체 뭔소리야?..
사이드 슬리핑을 끝내고 펜쥴럼 또는 트래버스를 시작할 때
그리고 턴을 할때까지 줄기차게 듣게되는 7:3 이나 6:4..
프론트(앞발)7 리어(뒷발)에 3 이렇게 체중이동 하라는 말이죠..
그만큼 앞발에 체중을 많이 실어주라는 얘기인데..
컴퍼스를 생각해봅시다..핀이 있는쪽을 고정하고 그곳을 축으로 돌려서
컴퍼스를 돌려 원을 그리게 됩니다..한쪽을 축으로 했기 때문에 잘 돌아가죠?..
보드의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양쪽 발에 5:5의 배분이 되면 보드의 중심이 가운데가 됩니다..
이런상태에서 보드를 돌려주기란 힘들죠..
여기서 말하는 보드를 돌려준다는것은 턴을 한다는 얘기가 아닙니다..
갈란드를 하거나 슬립으로 속도제어를 할때 강제로 뒷발을 슬립하기 위해서는
앞발을 축으로 뒷발을 미끌어지게 해야 합니다.
이렇게 무게 배분이 잘되면 상대적으로 앞발보다는 뒷발의 움직임이
편해지기 때문에 나중에 그라운드 트릭을 시작할때 스위치 자세로 바꾸는
아주 효과 만점입니다..
그러나..
너무 익숙해지면 턴을 할때 자꾸 뒷발을 쓰게 되서 자세가 아주 우스꽝스럽고
턴도 깔끔하게 되지가 않습니다.
턴을 할 시점에서는 5:5 의 무게배분으로 자연스럽게 돌아나가야 하는데
체중이 앞발에 많이 가있게 되면 포지션 및 프레스로 턴을 할 때 무의식중에
뒷발이 밀리기 때문에 밸런스도 흐트러지고 턴이 부자연스럽게 됩니다..